노후 준비에 있어서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하는 일 중 하나는 바로, 국민연금 금액 조회입니다. 2025년 올해부터 소득 기준과 보험료 상한액, 하한액이 조정되면서 연금 예상액도 변동이 생겼기 때문에, 지금 바로 내 예상 연금액이 얼마인지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.
국민연금 금액 조회 전 알아야 할 보험료 기준
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 × 9%로 계산됩니다. 직장 가입자는 사업주와 절반씩 부담하기 때문에 본인이 실제로 내는 비율은 4.5% 수준입니다.
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| 항목 | 2025년 7월 조정 금액 |
|---|---|
| 기준소득월액 하한 | 40만 원 |
| 기준소득월액 상한 | 637만 원 |
월 소득이 40만 원 이하라도 최소 보험료는 동일하며, 637만 원을 초과해도 상한액까지만 보험료를 냅니다.
국민연금 금액 조회 바로가기
국민연금 금액 조회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무료로 할 수 있습니다. 로그인 없이 간단하게 모의 계산도 가능하며, 본인 인증을 하면 실제 가입 이력이 반영된 정확한 금액을 볼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 금액 조회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국민연금공단 공식 사이트 접속
- 개인민원 → 예상연금액 조회 메뉴 선택
- 출생년도, 월 소득, 가입 기간 입력 후 결과 확인
- 본인 인증 시 실제 가입 내역 기반 금액 제공
소득과 가입 기간에 따른 예상 연금액 확인하기
2025년 기준 소득과 가입 기간에 따른 예상 연금액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| 월 소득(원) | 가입 기간 | 65세 예상 월 연금액(원) |
|---|---|---|
| 2,096,270 | 30년 | 약 770,000 |
| 3,089,062(A값) | 30년 | 약 1,180,000 |
| 6,370,000 | 30년 | 약 1,895,000 |
A값 = 전체 가입자 3년 평균 소득월액(2025년 약 3,089,062원)
조기 수령·연기 수령 선택 시 금액 변화
국민연금은 조기와 연기 수령을 모두 지원합니다.
- 65세 기준으로 60세부터 조기 수령 시 연 6%씩 감액
- 70세까지 연기하면 연 7.2%씩 증액, 최대 30% 증가 가능
건강 상태와 생활 계획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장 유리한 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국민연금 금액 조회 시 주의할 점
계산기에서 보여주는 금액은 세전 금액입니다. 실제 수령액은 소득세, 주민세, 건강보험료가 공제되어 더 적어질 수 있습니다. 또한 미납 기간이나 납부 예외 기간이 있으면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본인 이력을 반영해 계산해야 합니다.
✅함께 보면 좋은 글✅
